* 토목 기사 : 도로, 교량, 터널, 철도, 상하수도, 항만 등 사회 기반 시설(인프라)을 설계하고 시공하며 관리하는 전문 기술자이며 국가 자격증 시험에 합격한 후 부여되는 자격이다.

 

* 토목(土木) : 땅과 관련된 구조물을 만들거나 자연환경을 인간이 사용하기 편리하게 조성,정비,보존하는 기술과 학문을 말한다. 영어로는 Civil engineering(토목 공학)이라고 한다.

1) 土(흙 토) : 땅, 지반

2) 木 (나무 목) : 예전엔 '구조물'을 상징한다. 즉, 흙과 구조물을 다루는 기술이라는 의미로 도로, 철도, 교량, 터널, 댐, 하천, 항만, 상하수도 등 생활기반을 만드는 일을 포함한다.

 

* 토목의 예시

- 도로를 닦는 일

- 다리(교량)를 놓는 일

- 터널 뚫기

- 하천 정비

- 제방 쌓기

- 지반 다지기

- 댐, 항만, 공항 건설

- 지하철 공사

- 홍수, 산사테, 지진 대비

 

 

'토목 기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난방'이란?  (0) 2025.07.26
표층, 중간층, 기층, 노상  (0) 2025.07.26

* 지역난방은 열원 시설에서 대량의 열을 생산한 후, 온수나 증기의 형태로 배관을 통해 여러 건물에 공급하는 난방 방식이다. 흔히 공동 주택(빌라, 아파트 등), 학교, 병원, 공공기관 등 많은 사람들이 밀집해 사는 지역에 사용된다.

 

* 한국지역난방공사(KDHC) : 한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공기업으로 전국에 열 공급망을 구축하고 운영한다. (예: 평택은 '평택 에너지'가 담당)

 

* 현재 일하는 회사에서의 업무

- 열 공급망(배관망) 구축

- 생산된 열을 각 건물까지 전달하기 위한 열 배관 시설 설치

- 이 배관은 지하에 설치 되며, 큰 규모의 공사가 필요함.

-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안정적인 열 공급을 유지

- 배관망의 누수 점검, 보수, 유지관리 업무 수행

 

 

'토목 기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과 '토목 기사' 의미  (1) 2025.07.26
표층, 중간층, 기층, 노상  (0) 2025.07.26

<표층>

* 도로를 보았을 떄 바로 보이는 까맣고 매끈한 층이 '표층'이다. = 우리가 걷고 차가 다니는 부분

* 표층은 아스팔트, 아스콘으로 만들어져 있다.

 

 

 

<중간층>

1.재료

* 굵은 골재(자갈, 모래)

* 아스팔트 바인더 (고온에서 녹인 아스팔트 액체)

 

2.설명

* 표층에서 내려오는 하중과 기층에서 올라오는 하중 사이에서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층

* 중간 층은 골재와 아스팔트 바인더(액체)를 섞어서 만든다.

 

 

 

<기층>

* 도로 포장의 하부 구조층

* 표층과 중간층에서 내려오는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서 노상(흙, 바닥)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해주는 구조적 핵심층 

* 중간층보다 골재가 더 크고 구조적 강도가 높음.

* 기층은 아스팔트 기층과 비아스팔트 기층이 있다.

 

1.아스팔트 기층

* 아스팔트 바인더(액체) + 굵은 골재(자갈, 쇄석)를 섞어서 만든 기층용 아스콘.

* 기층용 아스콘은 표층용 아스콘보다 골재가 더 굵고 내구성 중심으로 설계된다.

* 주로 교통량이 많거나 구조적으로 튼튼해야 할 고속도로나 공항 활주로에서 사용한다.

 

2. 비아스팔트 기층

* 아스팔트 바인더(액체) 없이 굵은 골재(자갈, 쇄석)만 다져서 만든 층이다.

* 시멘트 처리된 흙(시멘트 안정처리토)도 사용된다.

* 농로, 지방토, 저가형 도로 등에 쓰이며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노상>

* 도로 가장 아래에 있는 자연 상태의 토양 또는 다져진 흙 층.

* 위의 기층, 중간층, 표층 등 포장구조를 지탱하는 기반 지반이다.

 

 

 

<아스팔트와 아스콘의 차이>

 

'토목 기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과 '토목 기사' 의미  (1) 2025.07.26
'지역난방'이란?  (0) 2025.07.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