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트 유제는 프라임 코트와 택코트가 있다.
<프라임 코트>
* 방수 목적으로 사용
* 골재나 포장층(보조기층) 위에 유제를 상표해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을 하려면 접착력 증대 보다는 방수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사용
* 작업을 할 때 프라임 코팅이라고 한다.
<택코트>
* 접착력 증대 목적
* 콘크리트 위에 접착력 증대를 위해서 사용
* 작업을 할 때 택코팅이라고 한다.
<아스팔트 유제 나머지 정보>
@ 방수와 접착력이라는 연관성을 지으면 구별이 쉬워진다.
@ 프라임 코트와 택 코트는 제조 후 60일이 넘으면 사용해서는 안 된다.
아스팔트 유제를 물뿌리게로 도로에 붓는 모습, 가포장 된 아스팔트에 붓고 있다.
-------------------------
<표층>
* 도로를 보았을 떄 바로 보이는 까맣고 매끈한 층이 '표층'이다. = 우리가 걷고 차가 다니는 부분
* 표층은 아스팔트, 아스콘으로 만들어져 있다.
<중간층>
1.재료
* 굵은 골재(자갈, 모래)
* 아스팔트 바인더 (고온에서 녹인 아스팔트 액체)
2.설명
* 표층에서 내려오는 하중과 기층에서 올라오는 하중 사이에서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층
* 중간 층은 골재와 아스팔트 바인더(액체)를 섞어서 만든다.
<기층>
* 도로 포장의 하부 구조층
* 표층과 중간층에서 내려오는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서 노상(흙, 바닥)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해주는 구조적 핵심층
* 중간층보다 골재가 더 크고 구조적 강도가 높음.
* 기층은 아스팔트 기층과 비아스팔트 기층이 있다.
1.아스팔트 기층
* 아스팔트 바인더(액체) + 굵은 골재(자갈, 쇄석)를 섞어서 만든 기층용 아스콘.
* 기층용 아스콘은 표층용 아스콘보다 골재가 더 굵고 내구성 중심으로 설계된다.
* 주로 교통량이 많거나 구조적으로 튼튼해야 할 고속도로나 공항 활주로에서 사용한다.
2. 비아스팔트 기층
* 아스팔트 바인더(액체) 없이 굵은 골재(자갈, 쇄석)만 다져서 만든 층이다.
* 시멘트 처리된 흙(시멘트 안정처리토)도 사용된다.
* 농로, 지방토, 저가형 도로 등에 쓰이며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노상>
* 도로 가장 아래에 있는 자연 상태의 토양 또는 다져진 흙 층.
* 위의 기층, 중간층, 표층 등 포장구조를 지탱하는 기반 지반이다.
<아스팔트와 아스콘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