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재정보(안전용품)7 간판, (입간판, A형대형표지판, 안내표지판, 광고판) 1. 간판* 실무자들이 현장에서 간판이라고 부른다.* 명칭이 여러 가지인데 간판, 입간판, A형 대형표지판, 안내 표지판, 광고판으로도 불린다.* 플라스틱으로 되어있고. 스티커나 인쇄 코팅 된 무언가를 붙여서 사람들에게 어떠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보행자 통로 방향을 안내하기도 하고 출입을 통제하기도 한다.* 은근히 사용이 될 때가 있으니 야적장에 잘 정리해서 구비를 해두는 게 좋다.* 바람에 쉽게 쓰러지거나 움직이므로 커다란 보도블록이나 모래 마대 2개 등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을 해주면 좋다.2. 정리와 자재 반납* 위의 사진처럼 나무 파레트 위에 가지런히 잘 쌓아놓고 향후에 6미터나 5미터짜리 실링바 2개를 걸어서 장비로 옮긴다.* 자재 반납을 할 때 간판이 찌그러지거나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은.. 2025. 8. 27. 소화기 1. 소화기* 용접사, 배관사, 보온사가 있는 곳에는 꼭 배치를 해야 하는 안전 용품이다. * 압입구간, 토목의 폼패드 토치 작업이 있는 곳에도 소화기를 배치한다. * 사용을 안할때는 창고 안에 보관한다. 2025. 8. 17. 일반 장화, 전신 장화 1. 일반 장화 * 흔하게 쓰이는 장화이다. 비가 온 후에 땅이 질퍽거리는 곳에서도 장화를 신고 다니면 좋다. * 트럭이 쉽게 더러워지는것을 방지해서 좋다. * 위 사진처럼 도리판에 긴 쇠말뚝을 박아주고 장화를 거꾸로 세워 걸어두면 비가 와도 문제가 없이 보관이 된다. 그리고 장화 안에 물이 들어갔을 때도 저렇게 해놓으면 장화 안의 물이 다 내려가서 장화가 마르게 된다. * 트럭의 짐칸에 장화와 우비를 구비해두면 좋다. 2. 가슴 장화 1) 가슴 장화는 주로 낚시, 갯벌, 농사, 용접 등 물이나 진흙 속에서 작업할 때 몸통을 덮어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의류이다. 2) 지역난방 현장에서는 용접사나 배관사가 물로 인해 축축해진 진흙 바닥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 입고 작업을 하게 된다. 3) 가슴 장화는.. 2025. 8. 17. 안전제일띠, 위험테이프 안전띠, 황색 (1) 산업현장, 지역난방, 건설현장 진입 차단용 안전제일 경고 테이프 (2) 안전제일 위험 테이프, 안전제일 테이프, 비닐 안전띠, 위험 안전띠로 불린다. (3) 두께는 100mm(10cm) 정도이며 길이는 10m 정도 된다. (4) 가격이 저렴한 편이라서 비싼 주황색 웨빙띠(안전띠)가 없는 경우나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025. 8. 17. 안전조끼 1) 지역난방이나 건설현장에서 노동자들이 입는 안전조끼이다. 필수적으로 입어야한다. 2) 내구성이 약하고 잘 더러워진다. 3) 밤에 빛에 반사가 잘 되서 눈에 잘 띄인다. 2025. 8. 17. 안전모 + 안전모 패션 턱끈 * 안전모 : 머리를 보호해주는 안전용품이다. 사진에 보이는 저 턱끈이 있는 안전모를 쓰는 것이 좋다. * 공사현장에서 꼭 써야하며 잠깐 쉴 때도 쓰는것이 좋다. 간혹 악의적으로 안전모를 벗고 잠깐 쉴 때의 모습을 보고 사진을 찍고 신고하는 기자나 일반인들이 있기 때문이다. * 안전모 패션 턱끈 : 안전모 턱끈이다.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처럼 리필용으로도 나온다. 2025. 8. 17. 안전블록(죔줄 안전대) 1) 1인용이며 전체식 안전 벨트를 착용하고 사용한다. 건설 현장에서 추락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무게도 무겁고 가격도 매우 비싼 장비이다. 2) 안전벨트와 함께 사용하며 안전벨트의 등 뒤에 달린 고리에 안전블록의 고리를 걸면 된다. 3) 안전블록은 천천히 내려가면 줄이 계속 나오고 갑자기 빠른속도로 내려가면 안전블록의 줄 내려감이 정지되고 멈춘다. 그런 방법으로 추락을 방지하는 것이다. 2025. 8.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