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D직업14

나무 파레트, 회수용 파레트 * 현장에서 쓰이는 나무 파레트이다. * 나무 파레트 위에 경계석, 글램프 같은 철재 자재, 몰탈, 아스콘 등을 올리고 운반한다. * 안쪽에 실링바 등을 넣을 때는 고춧대나 얇은 철근 등을 사용한다. * 위 사진을 자세히 보면 나무에 '회수용'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회수용이라고 적힌 빠레트는 회수를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가 있다. 그래서 나무 파레트를 정리할 때는 회수용과 회수용이 아닌 것을 따로 구분하고 정리하는 것이 좋다. * 본사에서도 나무 파레트를 처리하는데 돈이 들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나무 파레트 회수 회사에서 가져가도록 연락을 한다. * 플라스틱 파레트가 올 때도 있는데 많지는 않고 그... 플라스틱 파레트도 회수용이 있는지 아직은 잘 모르겠다. 2025. 8. 18.
면장갑 * 흔히 보던 면장갑이다. 지역난방의 토목들은 이 장갑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 이 장갑은 카고 크레인 기사가 사용하는것을 보았다. 그들은 장갑 1쌍으로 3일 정도 사용한다고 했다. * 장갑은 장비 기사들 본인들이 직접 창고에 가서 챙기는 것이다. 면장갑 뿐만 라이라 장갑 종류들은 전부 토목이 장비 기사들에게 챙겨주는 것이 아니다. 2025. 8. 17.
나이스 코팅장갑(토목이 사용하기 좋은 장갑) * 토목들이 가장 선호하는 장갑인 것 같다. * 보통 빨간색 목장갑을 사용하는데 이 장갑이 인기가 많았다. * 경계석을 다루는 사람들은 하루에 3 봉지씩 쓴다. 토목은 2 봉지 ~ 3 봉지 * 철물점에는 노란색이 아닌 황색으로 나온다. * 장갑 수를 읽는 단위는 10개 ~ 12개에 '1타'라고 읽는다.(정확한 전통 단위는 12개가 맞다) 2025. 8. 17.
PP로프 (1) PP로프 : 여러 용도로 쓰이는 5mm 로프이다. (2) 트럭의 짐칸에 1개씩 있으면 좋다. 필수 물품이다. (4) 커터칼로 잘 잘린다. (5) 더 굵은 로프같은 경우는 슬리브를 5개씩 덤프트럭에 실을 때 사용한다. ------------------------ PP로프 → 재질이 폴리프로필렌나일론 로프 → 재질이 폴리아미드(Nylon, PA)PP로프(폴리프로필렌): 가볍고 물에 뜸, 가격이 저렴함, 쉽게 자를 수 있음, 자외선에 다소 약함.나일론 로프(폴리아미드): 무겁고 물에 가라앉음, 질김, 탄성이 뛰어나 충격 흡수력 좋음, 가격이 더 비쌈.PP로프는 나일론 로프랑은 다른 재질 그래서 건설현장이나 일상에서는 가볍고 물에 뜨는 PP로프를 많이 쓰고, 낚시, 등산, 고하중 작업 같은 데는 나일론.. 2025. 8. 17.
엔진캡(터미널 슬리브) 1) 엔진캡(터미널 슬리브) : 열배관이 수직이나 기울어져 있는 경우 구멍을 덮어서 막을 때 사용한다. 2) 앤진캡은 무게가 무겁다. 그리고 그 구조가 혼자서 1톤 트럭에 싣기가 어렵다. 그래서 2명이서 들고 트럭에 실어야 한다. 3) 높게 들어야 할 때는 4미터짜리 실링바 1개로 든다. 4) 쓰일 때가 종종 있어서 야적장에 몇 개가 있고 어디에 있는지 어디서 사용 중인지를 잘 파악해야 한다. 5) 엔진캡은 카고나 장비를 통해 실링바로 들 때 망가지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1) 위의 사진처럼 용접사가 철판으로 엔진캡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2) 저런 경우는 윗부분에 작은 샤클을 용접으로 달아서 쉽게 들 수 있도록 개조도 가능하다. 3) 수직 방향의 직관은 이걸로 막는 게 편하다. 2025. 8. 17.
배관 캡 1) 배관 캡 : 배관을 막고 용접사들이 용접하는 둥근 철판이다. 2) 그 쓰임이 많지는 않다.3) 사무실 공무가 주문을 한다. 2025. 8. 17.
폼패드 - 부속 폼패드??? * 폼패드가 배달이 될 때 같이 배달되는 가늘고 기다란 폼패드인데... 한번도 사용되는 것을 보지 못했다... 직관이나 곡관 폼패드 등을 붙이고 생기는 틈새를 메꾸는 용도인지... 언젠가 알겠지... 2025. 8. 17.
폼패드(FOAM PAD) - 테이프 (1) 지역난방 공사현장의 열배관에 폼패드를 에워싸고 붙이고 또 다른 폼패드를 에워싸고 붙인 후에 폼패드끼리 떨어지지 않게 붙이는 폼패드 테이프이다. (2) 폼패드 테이프는 햇빛에 취약하다. 햇빛에 노출이 되면 녹아서 들러붙고 제품 자체가 떨어지지 않아서 못쓰게 된다. (3) 폼패드 테이프는 창고 안에 보관을 하거나 야외에서 보관을 할 경우에는 차광막이 펼쳐져 있는 곳 안에 넣어서 보관을 하는 것이 좋다. (4) 아침에 폼패드가 외부로 나가는 날에는 몇 포인트를 하는지 알아보고 그 수량에 맞게 비닐이나 왕겨마대(폐기물 마대)에 담아서 토목들에게 전달한다. (5) 외부에 나간 상태에서도 햇빛에 노출이 되는 것을 최대한 줄이도록 비닐이나 왕겨마대(폐기물 마대) 안에 보관하도록 한다. (6) 업무가 종료된 후.. 2025. 8. 16.
1톤 트럭 - 차량용 자동접이식 싸인보드 1) 차량용 자동접이식 싸인보드인데 트럭 운전석 뒤에 설치할 수가 있다. 2) 주로 도로에서 작업을 할 때는 이 싸인보드를 작동시켜서 마주 오는 차들에게 옆 차선으로 가라는 신호를 보낼 수가 있다. 그리고 왼쪽만 불이 나오게 조작할 수도 있고 오른쪽만 불이 나오게 조작할 수도 있다. 3) 개조 비용이 비싸다. 4) 차량용 시거잭에 연결해서 동력을 얻는다. 그래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싸인보드도 작동을 멈추므로 사용 시에는 차량의 시동이 계속 걸려 있어야 함. 5) 현장에서는 보통 '화살표'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래서 이것을 장착한 트럭을 '화살표 트럭'이라고 부르기도 함. 2025. 8. 16.
임시버스정류장 1) 임시버스 정류장이다. 2) 도로 공사를 할 때 원래 있던 버스 정류장을 시민들이 이용을 못할 때는, 저런 임시버스 정류장을 막혀있던 버스정류장 옆에 임시로 놓고 공사를 진행한다. 3) 많이 사용되는 자재는 아니다. 크기도 커서 카고 크레인이나 덤프에 실어서 옮겨야 한다. 2025. 8. 16.
가스 토치, 부탄 가스 '피스톨 가스 토치'라는 제품인데 꽤 우수한 제품이다. 부탄가스를 장착하여 사용하며 지역난방 공사에서 폼패드를 붙이는 작업을 할 때는 이 커다란 총모양의 토치를 사용하자. 버튼식이라 점화할 때 라이터가 필요없고 고장도 잘 안난다. 이 토치는 Smato 가스 토치인데... 이거는 버튼식이라 점화할 때 라이터가 필요없고 성능은 괜찮은데... 잘 고장이 나서 불편했다. 그래서 웬만하면 비추천한다... 가스토치는 현장에 보급할 때, 한 번에 많이 보급하지 말고 되도록이면 1개씩만 보급한다. 현장 인부들이 자주 잃어버리거나 파손이 자주 생긴다...1) 일반 부탄가스이고 많이 사용하는 하이썬 부탄가스이다. 토치를 장착해서 사용한다. 2) 1줄에 4개씩이다. 3) 아침에 커피를 끓이기 위한 버너에도 사용한다. 2025. 8. 14.
2싸이클오일 450ml [50:1], 투싸이클 1) 스틸 STIHL 오일 / 450ml / 독일산 2) 철물점 자재 명칭 : 2싸이클오일 철물점 규격 : 450ml [50:1] 3) 혼합물 윤활식 엔진에 사용되는 오일이며 예초기, 엔진톱, 파트너(벽면커팅기) 등에 사용된다. 4) 스틸 STIHL 오일은 현장에서 실무자들에게 투싸이클이라 불린다. 5) 휘발유와 50:1 비율로 섞어서 파트너에 넣어주면 된다고 한다. 붉은색의 오일 제품인데 휘발유를 50 비율, 오일을 1 비율로 한다. 6) 붉은색의 오일이 좋다고 한다. 만약에 없는 경우 파란색 오일을 사용해야 한다고 하는데 파란색 제품은 아직 잘 모르겠다... 2025. 8. 14.
도로 안전용 드럼통, 조립식 PE 드럼통, 도로용 PE 드럼통 PE(폴리에틸렌) 재질로 가볍고 충격에 강함.주로 빨간색이나 주황색 바탕에 흰색 반사 테이프가 있어서 가시성이 높음.도로나 공사 구간에서 차량 경계, 안전 표시용으로 사용됨.손잡이가 달려 있어 이동이나 설치가 편리함.도로 안전용 드럼통, 조립식 PE 드럼통, 도로용 PE 드럼통 ----------------------------------------- * 쓰다 남은 드럼통은 미장용 몰탈을 물과 섞는 작업을 할 때 사용 되기도 하므로 버리지 말고 잘 보관해 두면 요긴하게 잘 쓰인다. 2025. 8. 14.
물조리개, 조리개, 물뿌리개, 물통, 물주전자 1) 물뿌리개는 현장에서 물조리개, 조리개, 물통, 물주전자 등으로 불린다. 2) 도로포장, 파트너 컷팅기 작업, 도로 커팅기 작업 2025.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