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로공사12

도로 차선 규제봉(탄력봉) 1. 도로 차선 규제봉(탄력봉)1) 차량의 움직이는 방향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하는 물건이다. 탄력봉, 시선 유도봉이라고도 부른다. 2. 필요한 재료1) 도로 차선 규제봉(탄력봉) + 함께 세트로 되어있는 플라스틱 앙카와 볼트.* 내가 시공해봤던 탄력봉은 750봉 80짜리 였다. (높이 75cm, 너비 8cm) * 볼트 크기는 보통 17사이즈가 쓰이는 것 같다. 2) 볼트 크기에 맞는 함마 드릴3) 발전기 + 전기선 + 연료4) 임팩 + (볼트에 맞는 복사알) : 복사알은 절대로 중국산을 쓰지 말자... 임팩에서 잘 빠진다... 무조건 한국산 made in korea를 사자. 그리고 일본산도 결국 중국제인지 확인해 보고 중국제인 경우... 그것도 사지 말라... 중국산 복사알은 무조건 사지 마라...5) .. 2025. 9. 30.
관로표시핀, 관로표시못, 표시핀, 라인마크 1. 관로표시핀, 관로표시못, 표시핀, 라인마크도로 아래나 땅 아래에 묻은 상수도관, 가스관, 열배관, 송유관, 케이블 등의 절단이나 파손 사고를 막고 안전하게 유지관리보수하기 위하여 묻힌 매설물의 위치를 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는 제품을 말한다. 2.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에 설치하기1) 함마드릴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위에 구멍을 낸다. 2) 관로표시핀보다 훨씬 긴 드릴을 장착하는 것이 좋으며 함마드릴도 꽤 커다란 것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쁘레카 수준으로 큰 것) 그런데 함마드릴은 발전기에 연결할 경우, 전압 문제로 모터가 타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3) 실무자가 하얀색 락카로 열배관 방향을 그려준 대로 관로표시핀을 구멍 안에 잘 넣고 망치로 두드릴 준비를 한다. 4).. 2025. 9. 2.
인도 칠하기 / 에멀젼 도료(외부용) 페인트 - 적갈색 1. 에멀젼 도료 / 합성수지 에멀젼도료1) 신동페인트에서 나온 적갈색의 에멀젼 도료이다. 현장에서는 도로 페인트, 도로 칠하는 페인트 정도로 불린다. 2)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수성 페인트의 한 종류이며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고 물로 닦아낼 수 있는 수성 페인트이다. 3) 오늘 현장에서 한 반장님께서 이 페인트에 신라를 섞으라고 하셨는데... 잘못된 거였다... 이 페인트는 신라가 섞이지 않아서 개고생을 했다... 이 상태에서 페인트 로라에 묻혀서 칠을 하자니 칠이 잘 되지 않았다. 그나마 생수를 조금씩 섞어준 덕에 조금이라도 녹았다. 2) 로라(수성, 유성 겸용), 로라대1) 로라대는 막대기이다. 로라와 결합이 가능하다. 위 사진의 로라 사이즈는 9인치(22.86cm)이다. 2) 로라는 길이가 다양.. 2025. 8. 31.
PE빗물받이, 그레이팅, 컷쇼, 쇠톱 1. PE 빗물받이* PE 빗물받이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만들어진 '빗물 집수 장치'이다. * 가볍고 부식에도 강하고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도로나 주택가, 공원 등에서 빗물을 모아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2. 컷쏘(커쇼)나 쇠톱으로 빗물받이 자르기1) 컷쏘* 자를 때는 '컷쇼'라고 하는 공구를 이용하면 좋다. 2) 컷쏘날* 컷쇼에 장착되는 톱날은 긴 것도 있고 짧은 것도 있다. 그리고 나무와 철재를 자르는 컷쏘날도 있고 철재만 자르는 컷쏘날도 있다. * 위 사진에서 하얀색의 컷쏘날은 BOSCH에서 판매하는 S1411DF 모델이며 나무와 철재를 전부 자를 수 있는 컷쏘날이다. 그리고 가격은 1개에 5,000원 정도 한다. 철물점에서 낱개로도 구매가 가능했다. * 위 사진에서 .. 2025. 8. 19.
열배관 표지기 * 고온, 고압 열배관 위험 표지기 : 고온, 고압 열배관 위험 표지기이다. 열배관이 매설된 땅의 위에 꽂아서 위험 위치를 알린다. * 표지판, 폴트와 너트 * 표지판 말뚝 고정대 : 고온, 고압 열배관 위험 표지판을 고정하고 땅에 꽂는 데에 사용하는 말뚝 같은 것이다. 무게가 무거운 편이며 두껍고 날카롭다. * 평소에는 창고 안에서 보관하며 잘 쓰이지 않는 자재이다. 2025. 8. 17.
볏짚거적(씨거적)과 앙카핀 설치와 관리 1. 볏짚거적(씨거적)* 볏짚거적은 볏짚을 이어 엮어 만든 담요 형태의 자재이다. 주로 산의 비탈면 등에서 토양을 덮어 비로 인한 산사태를 방지한다. * 볏짚거적이나 씨거적으로 불린다. * 가격이 비싸다 1개에 35,000원 정도 했다.... 뭐가 저렇게 바씬가???... 그래서 이제부터는 주문 전에 꼭 볏짚거적과 앙카핀의 가격을 물어보고 비싼 경우... 공무에게 전화해서 상의해보고 주문을 한다... 너무 비싸면 욕먹는다... 2. 볏짚거적 앙카핀* 볏짚으로 만든 거적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핀이다. 네트, 매트류 고정핀이다. * 볏짚 거적용 앙카핀은 길이가 20cm짜리를 사용하면 된다. 3. 볏짚거적 설치1) 볏짚거적을 설치할 때는 2명이서 하는 것이 좋다. 2) 한 명이 거적의 끝을 살포시.. 2025. 8. 16.
1톤 트럭 - 차량용 자동접이식 싸인보드 1) 차량용 자동접이식 싸인보드인데 트럭 운전석 뒤에 설치할 수가 있다. 2) 주로 도로에서 작업을 할 때는 이 싸인보드를 작동시켜서 마주 오는 차들에게 옆 차선으로 가라는 신호를 보낼 수가 있다. 그리고 왼쪽만 불이 나오게 조작할 수도 있고 오른쪽만 불이 나오게 조작할 수도 있다. 3) 개조 비용이 비싸다. 4) 차량용 시거잭에 연결해서 동력을 얻는다. 그래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싸인보드도 작동을 멈추므로 사용 시에는 차량의 시동이 계속 걸려 있어야 함. 5) 현장에서는 보통 '화살표'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래서 이것을 장착한 트럭을 '화살표 트럭'이라고 부르기도 함. 2025. 8. 16.
임시버스정류장 1) 임시버스 정류장이다. 2) 도로 공사를 할 때 원래 있던 버스 정류장을 시민들이 이용을 못할 때는, 저런 임시버스 정류장을 막혀있던 버스정류장 옆에 임시로 놓고 공사를 진행한다. 3) 많이 사용되는 자재는 아니다. 크기도 커서 카고 크레인이나 덤프에 실어서 옮겨야 한다. 2025. 8. 16.
라바콘, 바르샤(콘용, 휀스용) 위 사진은 라바콘과 고무판이다. 2개는 하나로 합쳐질 수가 있다. 고무판은 라바콘의 무게를 무겁게 해서 라바콘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 위의 첫 번째 사진은 큰 라바콘과 일반 크기의 라바콘이다. * 두 번째 사진은 현장 정리를 위해서 나무 파레트에 라바콘들을 정리한 모습이다. 저렇게 정리를 해놓고 나중에 화물차에 실어서 본사로 보내면 된다. 그리고 라바콘 중에 망가진 것은 폐기물로 버린다. 위 사진에서 왼쪽 첫번째는 휀스용 바르샤, 가운데는 콘용 바르샤, 세 번째 것은 콘,드럼라이트 콘,드럼라이트는 커다란 D형 건전지 3개가 들어간다. 즉, 태양열로 자동 충전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전원도 검은색 버튼을 수동으로 눌러야 작동한다. 콘,드럼라이트를 작동하는 영상콘용 바르샤를 설치한 모.. 2025. 8. 14.
3따블, 6따블, LC,02(공투),6LC - 포크레인(장비)의 바퀴 사이즈 건설현장에서 일을 하다 보면 포크레인(장비)을보고 3따블이냐 6따블이냐, 02(공투)냐 등등의소리가 자주 들린다.​그래서 장비 기사에게 물어 보았는데, 장비의바퀴 사이즈를 보고 말하는 것이라고 했다.3따블과 6따블은 바퀴 4개가 있는 스타일이고3따블은 작은 바퀴이고 6따블은 큰바퀴이다. ​LC, 02(공투), 6LC는 궤도 바퀴 스타일을 말한다.​​​보통 지역난방 현장에서는 6따블 바퀴를 장착한커다란 장비를 많이 쓰며 3따블은 경계석, 보도블럭등을 작업하는 현장에서 쓰는 작은 포크레인이다.​LC 같은 궤도 장비는 기동성이 낮아서화물차로 옮겨야 하며 커다란 규모에서 사용되고흔히 보기가 어렵다. 2025. 8. 14.
찰흙 / 갈색 찰흙 / 흙 재질 / 토기장이 찰흙 / 옹기토 * 문구점에서 흔히 보던 갈색이며 흙 재질의 찰흙이다. * 배관사가 땅에 매설되어 있던 배관을 자를 때, 배관 내부에서 물이 새나오는 경우에는 자르기가 어렵다. 이 때, 배관 안쪽 아래에 흙 재질의 찰흙으로 둔덕을 만들어 두면 물이 배관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배관사가 배관을 자를수가 있다. * 재질은 반드시 점토흙(흙) 재질의 찰흙을 써야한다. 종이(펄프) 재질의 찰흙은 사용하면 안된다. * 찰흙은 사용되는 때가 많지 않지만 언젠가는 필연적으로 사용이 되는 자재이다. * 철물점에는 없는 경우가 많다... 애매하다. 오히려 철물점에는 지점토가 있었는데 지점토는 종이(펄프)재질이었다... 종이 재질 지점토로 물이 새는 배관에 둔덕을 만들면 물에 녹아서 무너진다... 그래서 문구점에 가서 .. 2025. 8. 6.
로라(수성, 유성 겸용) * 위의 사진은 길이는 짧지만 두께는 두꺼운 로라이다. 흰색 부분은 리필이 가능하다. * 도로 공사에 쓰이기에 좋은 규격이다. 잘 기억해야 한다. * 경유를 잘 흡수했었다. 위의 사진도 로라이기는 한데, 도로 포장에 쓰이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작은 크기의 로라이다. 이런 크기는 구매하면 안된다. 2025.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