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재정보(배관)9

관로표시핀, 관로표시못, 표시핀, 라인마크 1. 관로표시핀, 관로표시못, 표시핀, 라인마크도로 아래나 땅 아래에 묻은 상수도관, 가스관, 열배관, 송유관, 케이블 등의 절단이나 파손 사고를 막고 안전하게 유지관리보수하기 위하여 묻힌 매설물의 위치를 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는 제품을 말한다. 2.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에 설치하기1) 함마드릴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위에 구멍을 낸다. 2) 관로표시핀보다 훨씬 긴 드릴을 장착하는 것이 좋으며 함마드릴도 꽤 커다란 것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쁘레카 수준으로 큰 것) 그런데 함마드릴은 발전기에 연결할 경우, 전압 문제로 모터가 타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3) 실무자가 하얀색 락카로 열배관 방향을 그려준 대로 관로표시핀을 구멍 안에 잘 넣고 망치로 두드릴 준비를 한다. 4).. 2025. 9. 2.
열배관 표지기 * 고온, 고압 열배관 위험 표지기 : 고온, 고압 열배관 위험 표지기이다. 열배관이 매설된 땅의 위에 꽂아서 위험 위치를 알린다. * 표지판, 폴트와 너트 * 표지판 말뚝 고정대 : 고온, 고압 열배관 위험 표지판을 고정하고 땅에 꽂는 데에 사용하는 말뚝 같은 것이다. 무게가 무거운 편이며 두껍고 날카롭다. * 평소에는 창고 안에서 보관하며 잘 쓰이지 않는 자재이다. 2025. 8. 17.
경고 테이프 - 서플라이(공급관), 리턴(회수관), 도시가스 1) 경고 테이프 : 배관을 땅에 매설하고 데메우기를 할 때 까는 경고 테이프다. 2) 잡아당기면 더 길어진다. 1) 주황색은 서플라이(공급관) 2) 부족하면 사무실 공무에게 주문을 부탁한다. 3) 땅에 놓을 때는 오른쪽에 놓는다. 1) 노란색은 리턴(회수관)2) 부족하면 사무실 공무에게 주문을 부탁한다. 3) 땅에 놓을 때는 왼쪽에 놓는다. 1) 도시가스 경고테이프 2) 도시가스 경고테이프는 사무실 공무에게 주문을 하는 것이 아닌, 도시가스 직원에게 부탁하면 준다고 한다. 2025. 8. 17.
엔진캡(터미널 슬리브) 1) 엔진캡(터미널 슬리브) : 열배관이 수직이나 기울어져 있는 경우 구멍을 덮어서 막을 때 사용한다. 2) 앤진캡은 무게가 무겁다. 그리고 그 구조가 혼자서 1톤 트럭에 싣기가 어렵다. 그래서 2명이서 들고 트럭에 실어야 한다. 3) 높게 들어야 할 때는 4미터짜리 실링바 1개로 든다. 4) 쓰일 때가 종종 있어서 야적장에 몇 개가 있고 어디에 있는지 어디서 사용 중인지를 잘 파악해야 한다. 5) 엔진캡은 카고나 장비를 통해 실링바로 들 때 망가지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1) 위의 사진처럼 용접사가 철판으로 엔진캡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2) 저런 경우는 윗부분에 작은 샤클을 용접으로 달아서 쉽게 들 수 있도록 개조도 가능하다. 3) 수직 방향의 직관은 이걸로 막는 게 편하다. 2025. 8. 17.
배관 캡 1) 배관 캡 : 배관을 막고 용접사들이 용접하는 둥근 철판이다. 2) 그 쓰임이 많지는 않다.3) 사무실 공무가 주문을 한다. 2025. 8. 17.
밴드(반도), 시트지드(반도), 시트지 * 밴드(반도) : PVC 배관끼리 연결할 때 쓰이는 자재이다. * 밴드(반도)에 쓰이는 볼트와 너트가 있다. 그것으로 조여주면 완성이 되는 것이다.(몽키 스패너나 일반 스패너로 조이면 된다)* 위 사진을 보면 300이라고 쓰여져 있는데 300짜리 PVC관에 사용하는 밴드(반도)라는 의미다. * 시트지 : 연결된 PVC 배관에다가 감싸는 자재이다. 이 시트지를 먼저 감싼 후에 밴드(반도)로 감아주면 되는 것이다. 시트지는 가위나 커터칼로 재단이 쉽다. 1) 터파기를 하다가 PVC 수로관이나 통신선 등을 건드려서 깨지는 경우가 생긴 경우, 그 PVC관과 같은 사이즈의 PVC 관을 준비한다. 2) 새로 준비한 관과 부서진 부분을 잘 재단해서 맞춰준다. 3) 시트지로 잘 감아준다. 4) 밴드(반도)로 감아.. 2025. 8. 17.
듀얼씰(듀얼시트) 1) 외부 코팅이 검은색이며 열배관에 쓰이는 보온재 2) 듀얼씰은 보온사들이 사용한다. 3) 롤 1개에 열배관 5개 반 포인트에 사용이 가능하다. 4) 즉, 배관 용접(피답) 6개 포인트에는 듀얼 씰 2개가 필요하며 추가 지원 시에는 되도록이면 중고보다는 오히려 새것을 추가로 보내는 것이 패치(보온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고 한다. 5) 보온사들이 1포인트에 보온작업을 끝내면 UT검사를 하고나서 스티커 붙이고 폼패드 작업을 하는 것임. 6) 주문 배달 신청을 할 때는 슬리브나 폼패드와 함께 하는 것이 아닌, 따로 개별적으로 배달 신청이 가능하며 1톤 트럭에 상자 박스에 포장이 돼서 온다. ------------------------------- ※ 듀얼씰은 보온사들이 쓰는 거라서 아침 TBM 시간과.. 2025. 8. 16.
패치 1) 패치 : 지역난방 열배관 용접 작업 1포인트에 2개가 필요한 보온재다. 2) 가격이 비싸서 현장에 필요 이상으로 보내면 컴플레인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3) 패치는 용접사들이 사용한다. 4) 아침 TBM 시간이나 용접 현장에 돌아다닐 때, 용접사들에게 패치가 필요한지 물어보고 필요하다고 하면 몇 포인트인지 물어보고 나서 필요한 만큼 주고 필요 없다고 하면 안 줘도 된다. 패치는 이렇게 검은색이 주로 나간다. 위 사진의 노란색 패치도 패치의 일종이라는데... 한 번도 쓰는 것을 보지 못했다. 뭘까??? 어떨 때 쓰는걸까??? 2025. 8. 16.
맨홀 뚜껑 / 맨홀 뚜껑 열기 / 고압 호스 연결 * 지역난방 공사에 사용되는 '열배관 밸브'가 지하에 설치된 곳에 사용되는 '맨홀 뚜껑'이다. '철괴'라고도 불리고 있다. * 지역난방에 사용되는 커다란 맨홀 뚜껑의 크기는 보통 '918 파이'이다. 물론 다른 사이즈도 있기는 하다. * 918파이 = 91.8cm 1) 설치되어 있는 맨홀 뚜껑을 열기 위해서는 기다란 빠루, 40미리 두께에 1.2m 정도 길이의 아시바 파이프(비계 파이프), 발판이 9개인 사다리 필요. 2) 맨홀 뚜껑을 연다는 것은 분명 지하에 설치 되어 있는 밸브를 조작하기 위함이므로 밸브를 여는 '키', 밸브에 연결에 필요한 고압호스, 쇠망치가 필요. 3) 맨홀 뚜껑을 빠루로 살짝 들고 그 사이에 40미리 두께에 1.2m 정도 길이의 아시바 파이프(비계 파이프) 를 넣고 고정하고 당.. 2025.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