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기사7

폼패드(FOAM PAD) - 원형 * 원형 폼패드이다. 원형 폼패드는 열배관을 두 번 감싸는데, 먼저 50T짜리를 감싸고 붙이고 그 후에 100T짜리를 감싸서 붙인다. * 100T = 100 mm = 10 cm / 50T = 50 mm = 5 cm * 수량이 5라고 나오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명세표에서는 저 5M는 수량이 5개라는 것이며 읽는 단위는 ea 라고 읽으므로 5ea 라고 읽는다. * 저 폼패드 뭉치가 10개일 경우 수량은 50ea가 된다. 이 폼패드는 특이한 게... 커터칼로 재단을 해서 곡관을 만들 수가 있다. 내 기억에 항상 이 원형 폼패드로 곡관을 만들더라. 그리고 그 방법이 참 어려웠다. 기공들이 만들던데... 어려워 보였다. 그리고... 한 번 샘플을 만들고 나서 그 샘플은 사용하지 말고 버리지 말고 계속 .. 2025. 8. 16.
맨홀 뚜껑, 맨홀 뚜껑 여는 방법, 밸브 조작 준비 * 지역난방에 쓰이는 열배관 밸브가 설치된 곳에 쓰이는 '맨홀 뚜껑'이며 '철괴'라고도 불린다.* 지역난방 맨홀 크기는 일반적으로 '918 파이'로 불린다. 물론 다른 사이즈도 있기는 한데... 저런 일반 큰 맨홀 뚜껑 사이즈는 918파이다.* 918파이 = 91.8cm 위의 사진은 밸브 배관이다. 저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고 매설한 자리에 공구리(콘크리트)를 치고 공간을 만들고 그 위에 뚜껑에 맨홀로 닫는 것이다. -------------------------------------맨홀 뚜껑을 열기 맨홀 뚜껑을 열 때는 긴 빠루와 40미리 정도 되는 아시바 파이프, 발판이 9개 짜리인 사다리를 준비한다. 그리고 맨홀 뚜껑을 연다는 것은 지하에 있는 밸브를 조작한다는 것이므로 고압호스와 밸브를 여는 '.. 2025. 8. 14.
신호수 - 1차선 오르막길 도로 통제 건설현장, 도로공사, 지역난방 등의 현장에서는 꼭 신호수가 필요하다. 위 사진의 상황은 "양쪽이 조금 넓은 1차선에다가 오르막 길인 도로를 통제해야하는 상황"이다. 내리막길 차선에는 장비(포크레인)가 작업을 하고 있어서 내려가는 차량들이 지나가기가 불편한 상황이다.저럴 경우에는 사진처럼 라바콘을 중앙에 놓고 위 언덕에서 신호수 한 명이 내려가는 것을 잘 통제 해주어야 한다.아래에서는 다른 신호수 한명이 위의 사진에 보이는 신호등이 빨간불일 때는 올라가는 차량들을 막는다.그리고 멈춰있는 차량들 마다 다가가서 좌회전 할 예정인지 우회전을 할 예정인지 물어보고 좌회전 차량은 기다리라고 하고 우회전을 할 차라면 바로 보내준다. 그 후에 신호등에 좌회전 표시가 나오면 모든 차량을 통과시켜주며 신호등이 빨간불이 되.. 2025. 8. 14.
1톤 트럭(포터2) 타이어 관리 트럭의 타이어의 뒷바퀴는 총 4개가 들어가며앞 바퀴는 1개씩 들어간다.뒷바퀴는 4개 중에 1개씩만 갈을 수도 있다.​트럭을 건설 현장에서 많이 운행하다 보면바퀴에 못이 박혀서 바람이 미세하게새나가는 경우가 많다.​그래서 트럭을 운행할 때 운전자의 시선이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지의 여부를잘 확인해 보고 인지해야 한다.​타이어 전문 센터에서는 바람을 무료로넣어주므로 2주 ~3주에 한 번씩 가서타이어 바람을 넣어 준다.​만약에 차량의 타이어가 전부 노후가 된상태에서 한 쪽 바퀴만 새걸로 교체해 주면중심선이 기울어지는 문제가 생긴다고하니 이것도 잘 알아 두자.​ 2025. 8. 14.
반생, 3mm 철사, 볼트 캇타, 시노 1. 반생, 철사에 대해서1) 반생 또는 반생이 라고 불리는 철사이다. 2) 건설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재 중 하나이다. 3) 싸리 빗자루를 묶는 용도나 자재들을 묶거나 나무 파레트를 묶거나 할 때 4) 함께 사용되는 공구로는 '카타기'와 '시노' 있다. 5) 반생의 규격은 3mm를 사용하는데 철물점에서는 10# 이라고 표기하며 10번 이라고 읽는다. 2. 볼트 캇타, 시노(시놋대)1) 볼트 캇타는 현장에서 '카타'나 '철사를 자르는 카타'로 부른다. 2) 볼트 캇타는 규격이 HA-350 사이즈가 많이 쓰이고 좋다. 3) 시노는 창고에 2개 정도 있는 것이 좋다. 2025. 8. 6.
쁘레카(로터리 해머) * 뿌레카는 드릴처럼 생겨서 양손으로 잡고 구멍을 뚫는다. * 정식 명칭은 '로터리 해머'이다. * 콘크리드 바닥에 맨홀 뚜껑을 고정할 앙카볼트 24mm짜리 같은 커다란 것과 앙카 펀치가 들어갈 큰 구멍을 만들 때는 뿌레카가 필요하다. * 함마드릴하고 뿌레카, 착암기가 있는데 생긴것은 비슷하지만 셋은 쓰임이 다르다. * 실무자가 힐티 뚫는거 가져오라고 하면 뿌레카를 말하는 것이다. 근데 힐티는 실제 존재하는 브랜드 이름이다...... 근데 뿌레카를 가져오라고 하는 것을.. 힐티를 가져오라고 한다. 뭐냐???..... * 로미 : 뿌레카에 끼워는 쇠 부품인데, 콘크리트 파괴용인 철근 모양의 비트를 말하는 '속어' 또는 '은어'이다. 정식 명칭은 '착암 비트, 척'이다. * 뿌레카는 고장나는 경우가 .. 2025. 8. 5.
'토목'과 '토목 기사' 의미 * 토목 기사 : 도로, 교량, 터널, 철도, 상하수도, 항만 등 사회 기반 시설(인프라)을 설계하고 시공하며 관리하는 전문 기술자이며 국가 자격증 시험에 합격한 후 부여되는 자격이다. * 토목(土木) : 땅과 관련된 구조물을 만들거나 자연환경을 인간이 사용하기 편리하게 조성,정비,보존하는 기술과 학문을 말한다. 영어로는 Civil engineering(토목 공학)이라고 한다.1) 土(흙 토) : 땅, 지반2) 木 (나무 목) : 예전엔 '구조물'을 상징한다. 즉, 흙과 구조물을 다루는 기술이라는 의미로 도로, 철도, 교량, 터널, 댐, 하천, 항만, 상하수도 등 생활기반을 만드는 일을 포함한다. * 토목의 예시- 도로를 닦는 일- 다리(교량)를 놓는 일- 터널 뚫기- 하천 정비- 제방 쌓기- 지반 다지.. 2025.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