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ROMARU8

탄력바, 고강력 탄력바, 초강력바 * '탄력바'라고 많이 불린다. 트럭의 짐칸에 두고 다니며 커다란 자재 등을 실었을 때 짐칸에 묶어 두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 탄력이 있어서 잘 늘어난다. 그래서 자재를 묶어 둘 때 성능이 좋다. * 탄력바 없이 일반 안전띠(웨빙띠)나 로프 등으로 자재를 고정하고 다니면 문제가 생길 위험도가 높아지니 주의해야 한다. 정말 무조건 탄력바를 사용하자.... * 가격은 한 롤에 22,000원 정도이며 꽤 비싼 편이다. * 위 사진은 많이 사용이 된 탄력바의 모습이다. 탄력바는 상당히 오래 쓰는 것 같다. 2025. 8. 6.
다이아몬드 그라인더날(다이아몬드 컷팅날,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도로 커팅날 * 다이아몬드 그라인더날, 다이아몬드 컷팅날,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등으로 불린다. * 원형의 절단날에 인공다이아몬드 입자를 입혀서 만든 공구로 매우 단단한 재료도 마모 없이 정밀학 절단할 수 있게 해준다. * 도로공사, 건설현장, 도로의 경계석, 대리석, 화강석, 돌, 석재, 벽돌,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절단할 때 사용된다. * 일반 그라인더날로 하면 날이 쉽게 망가지므로 다이아몬드날이 사용된다. * 일반적으로 그라인더, 컷팅기, 절단기 등에 장착해 사용됩니다. * 사용되는 크기는 보통 5인치(외경 12.7cm), 2.0T(두께 2.0mm), 15mm(내경 너비) 사이즈가 사용된다. 전기선을 연결해야 하는 방식의 그라인더이다. (배터리 방식이 아님)* 구매한 다이아몬드 커팅날이다. 5인치 (외경 12... 2025. 8. 3.
빔휀스(H빔휀스) 반납 하기 * 빔휀스는 공사현장에서 외부인이나 차량의 진입을 막기 위해 통행로를 막는 쇠덩어리 H빔에 용접으로 만들어 놓은 바리케이트다. * 현장에서 6M 짜리나 10M 짜리를 많이 사용하며 10미터 짜리는 중앙에 실링바나 샤클을 걸을 수 있는 고리 구멍이 있고 6미터 짜리는 고리 구멍이 없다.(우리 현장 기준) * 반납을 할 때는 25톤 트럭에 20개씩(2층으로) 실어서 보냈다. * 반납하는날이 오기전에 미리 반드시 빔휀스에 고정되는 샤클과 1미터 실링바의 길이 등을 일정하게 미리 맞추어 주어야 한다. 샤클과 실링바가 없는 경우에는 철물점에 가서 사와야 한다. 그리고 되도록이면 빔휀스 안쪽에 있는 흙이나 돌, 쓰레기 등도 제거해주어야 한다. * 빔휀스에 쓰이는 샤클은 1/2 , 5/8 , 3/4 사이즈가 있는데.. 2025. 7. 29.
엔진 양수기 * 양수기는 공사 중에 땅에서 물이 솟아 나오거나 수로관이 부서져서 누수가 발생하면 필요한 장비이다. 양수기는 크게 엔진 양수기와 전기 양수기가 있다. * 엔진 양수기는 조작키가 약간 다르게 위치란 경우가 있다. * 엔진 양수기는 사용 전에 연료가 충분한지 확인을 해야한다. * 보통 양수기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소방호스를 2개이상 챙겨가는 것이 좋다. * 크기가 작은 엔진 양수기는 보통 휘발유(가솔린 = Gasoline )를 사용한다. 그리고 엔진 오일도 가솔린 전용 엔진 오일을 사용한다.프랙시볼을 연결하는 부분이 보인다.왼쪽 사진에 엔진 오일을 넣는 부분이 보인다. 그리고 오른쪽의 빨간 조작키는 시동을 걸고 끄는 조작키다. * 왼쪽 사진에는 흰색 초크가 있고 아래에는 검은색의 조작키(오일 공급)가 있다.. 2025. 7. 28.
차광막 * 열배관, 혼합 폐기물, 콘크리트 폐기물, 아스콘 폐기물 등을 덮는데 사용한다. * 일반 폐기물을 덮기위한 목적으로 구매할 때는 보통 차광비율이 55%인 것을 추천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는 녹색으로 해도 좋다.음... 그냥 더 저렴한 것으로 구매하면 색깔은 어떤 색이든 문제 없다. * 일반 폐기물등을 덮는 용도일 경우 크기는 보통 6m x 20m를 구매하게 된다. * 열배관을 장기간 덮는 목적으로서 구매할 경우에는 사무실의 공무직원과 협의를 통하여 차광율이 100%짜리에다가 크기도 엄청 커다란 특대 사이즈를 주문 제작해야 하는 상황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녹색보다는 검은색이 좋다.※ 중요 정보 1) 지역 난방 현장의 야적장에 마감 전에는 꼭 열배관, 아스콘 폐기.. 2025. 7. 27.
밸브 배관 작업 / 지역난방 * 사진에 나오듯이 밸브가 있는 곳을 작업하려면 그곳 공간 내부가 깊어서 사다리를 가지고 내려가야 한다. 내 기억상으로는 발판이 11개? 있는 사다리를 가져오면 된다. 너무 큰 건 필요없다. * 밸브는 나란히 두개가 설치가 되어 있는데 오른쪽은 '공급관'이며 '서플라이' 라고도 한다. 그리고 왼쪽은 '회수관'이며 '리턴'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공사가 잘못 되서 위치가 어긋나버리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그럴 경우에는 다시 배관을 자르고 올바르게 이어 붙여야 하는 작업 상황이 발생한다. * 키로 밸브를 닫을 때는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리고 한참을 강한 힘으로 돌려줘야 닫힌다. 은근히 오래 걸린다.고압호스 : 암수가 한 쌍인 고압호스를 사용해야 한다. 배관용 용접형 볼 밸브 : .. 2025. 7. 27.
가시설 - TS판넬 반납 작업 모습 1. 버팀은 로라와 중간 부분의 볼트는 46짜리 깔깔이(라쳇 렌치, 견삭기) 와 46짜리 스패너 그리고 46짜리 폭살이 장착된 임팩으로 해체한다. 먼저 스패너로 고정하고 임팩으로 분리 작업 하다가 조여서 안빠지면 임팩은 내려놓고 스패너와 깔깔이로 빼준다. (스패너는 몽키 스패너 보다는 일반 스패너로 하는 것이 더 수월했던거 같다) 2. 분리한 볼트와 너트는 모레마대에 넣는다. 되도록이면 볼트와 너트 세트를 기준으로 한 개로 하고 수량을 검정 매직으로 써놓으면 좋다. 말에 들어가는 핀도 모레 마대에 넣어 둔다. 3. 장비(포크레인)으로 지게차가 잡업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평평하고 단단한 땅 위에 도리판이나 H빔 등을 나란히 2미터 정도 간격으로 2개씩 깔고 그 위에 TS 판넬을 차곡차곡 쌓아 놓으면 지게.. 2025. 7. 26.
수평실, 목수실 *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끈이나 줄을 의미한다.* 건축 공사에서 벽돌, 타일, 석재 등을 쌓을 때 수평을 확인하는 데 사용한다.* 바닥이나 벽의 수평을 맞추는 대에도 사용한다. * 주로 나무 재질의 도구와 함께 사용되며 정교한 작업에 적합하다.* 경계석을 다루는 사람들이 사용하기도 한다. 목수만 사용하는 것이 아님. 2025. 7. 26.